2022년 7월 22일에 작성됨
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12901
프로그래머스
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.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.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,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.
programmers.co.kr
문제 분석
윤년은 2월 29일이 있음. (평년은 2월 28일까지)
누적 일수를 7로 나눈 나머지에 대한 규칙성을 찾아서 요일을 구한다.
<규칙 설명>
1월 달에서 (모든 일수 % 7)을 해보면 나머지가 0일 때 목요일, 1일 때 금요일, 2: 토요일, 3: 일요일, 4: 월요일, 5: 화요일, 6: 수요일 이라는 규칙이 적용되는걸 볼 수 있다.
2월 달 부터는 누적 일수를 구하면 된다. 2월 1일은 31일+1일로 32일이고, 2월 2일은 31+2일로 33일이 된다. 그럼 2월 1일, 즉 32일 % 7 = 4이므로 월요일이 알맞게 나온다.
마지막으로 a=3, b=10이라 가정해보자. 1월 1일부터 3월 10일까지의 누적 일수는 31+29+10=70일 이다. 70 % 7 = 0이 되고 위의 규칙에 맞게 목요일이 나온다.
소스 코드 (⭕)
#include <stdio.h>
#include <stdbool.h>
#include <stdlib.h>
char* solution(int a, int b) {
char* arr[] = { "THU", "FRI", "SAT", "SUN", "MON", "TUE", "WED" }; // 순서 중요!
// 리턴할 값은 메모리를 동적 할당해주세요.
char* answer = (char*)malloc(sizeof(arr));
int day[] = { 31, 29, 31, 30, 31, 30, 31, 31, 30, 31, 30, 31 }; // 1~12월의 마지막 날짜
int total_day = 0; // 누적 일수 담을 변수
for (int i = 0; i < a - 1; i++) { // 1월 부터 (a-1)월 까지의
total_day += day[i]; // 누적 일수 구하기
}
total_day += b; // b일까지 더하여 최종 누적 일수 구하기
answer = arr[total_day % 7]; // 누적 일수를 7로 나눈 나머지로 요일 찾기
return answer;
}
코드 분석
1. 배열 arr의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하므로, 인덱스를 나머지 처럼 생각하여 목~수 요일 순서로 문자열을 넣어준다.
2. 배열 day에서 1월~12월의 마지막 날의 수를 각각 요소 값으로 선언해준다.
3. 토탈 누적 일수를 구한다.
4. 누적 일수를 7로 나눈 나머지에 따라 arr 배열에서 선언해준 요소 값 대로 요일을 반환한다.
end
누적 일수로 하면 나머지에 대한 규칙이 딱 맞는게 신기했다.
'코딩테스트 & 문제 풀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ython]프로그래머스_Lv1 : 최소직사각형 (0) | 2023.05.15 |
---|---|
[Python]프로그래머스_Lv1 : 짝수와 홀수 (0) | 2023.05.14 |
[C]프로그래머스_Lv1 : 핸드폰 번호 가리기 (2) | 2023.05.14 |
[C]프로그래머스_Lv1 : 약수의 개수와 덧셈 (1) | 2023.05.06 |
[C]프로그래머스_Lv1 : 정수 제곱근 판별 (0) | 2023.05.05 |